Introduction안녕하세요.오픈소스컨설팅 솔루션 설계팀 김세연입니다.저희는 기존 시스템을 오픈소스로 전환, 사용 지원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내용은 www.osci.kr 에서 확인해 주세요.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IT 프로젝트는 무엇일까요? 고객의 요구사항을 기간 안에 구현하는 것일까요? 위 그림은 IT 프로젝트의 초기 요구사항의 불확실성, 복잡성에 대해서 각 담당자가 이해한 결과물을 보여줍니다. 사실 고객은 나무에서 타이어 그네를 타고 싶었습니다. 프로젝트가 끝날 때쯤에 알았다면 이미 늦었습니다.프로젝트 기간, 비용, 품질 3박자를 충족시키고 시장(고객)의 반응이 좋을 때 성공했다고 생각이 듭니다. 여기서 한 가지 더 개발사도 만족할 때 최고의 성공이라고 생각합니다.저는 프로젝트 성공에 대한 관..
[Jira Project Administration]이제 앞에서 열심히 설정했던 내용들을 사용해볼 시간입니다. 아이씐나이쯤되면 까먹으셨을테니 다시 캡처를 첨부해보면, 만들었던 Web Customer Support로 들어간 뒤, 하단의 Project Administration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다시 시작된 곶통.jpg 그럼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며 좌측에 많이 본 듯한 메뉴가 존재합니다. (Subtask Templates의 경우 플러그인이 설치되어있기에 나타난 메뉴입니다) Summary: 우선 Summary부터 보시면 프로젝트의 설정 요약으로써, 해당 프로젝트가 어떤 설정들을 적용받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우측의 Edit Proejct를 클릭 시, 해당 프로젝트의 이름, 키값, 프로젝트 아바타 등을 ..
드디어 마지막인 Scheme부분입니다. 앞서 나왔던 Field scheme이라던가 screen scheme들도 있기에 조금 더 정확히 쓰자면Issue security, Permission, Notification Scheme입니다만, 제목으론 조금 길어서 scheme으로 적었습니다. 그럼 Issue탭 설정의 마지막을 적어보겠습니다. Issue security schemes: 생성된 이슈들에 대해서 볼 수 있는 권한을 설정하는 메뉴입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메뉴는 아니지만, 설명은 하고 넘어가야겠죠.우선 Add issue Security Scheme를 클릭하여 다음처럼 Test Issue Security Scheme을 생성합니다. 그리고 우측의 Security Levels를 클릭 후 다음처럼 Tes..
Time tracking: Jira Issue에서 Time Tracking기능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메뉴입니다.만약 필드에 Time Tracking을 사용하도록 설정하였다면, 이슈를 생성 시 다음과 같이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필드가 생기며예를 들어 3일짜리 일을 생성할 경우 3d를 입력 후 생성합니다. 그럼 생성된 이슈의 우측에 이렇게 3일이 표시됩니다. 시간을 기록하기 위해선 Sub-Task를 만드는 것처럼 이슈의 More에서 Log Work를 클릭하면 됩니다. 그리고 하루 일했다는 가정으로 1d를 입력 후 Log를 클릭하면, 이렇게 시간이 계산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눈치채셨겠지만, 자동으론 안됩니다. 물론 이를 자동화해주는 플러그인도 있겠지만, 기본적으론 되지않지요... 또한 사용자가 입..
Custom fields: 커스텀 필드를 클릭 시 현재 Jira에서 사용 중인 수정가능한 모든 필드들을 보여줍니다. 보시면 대충 아시겠지만 커스텀필드는 스크린에서 보여지는 필드들이며, 필요한 필드가 있을 경우 추가가 가능합니다. 필드 중엔 Locked로 잠겨있는 것들이 존재하는데 이는 시스템이나 플러그인에서 사용 중이며, 지워질 경우 Jira에 영향이 갈 만한 것들을 임의로 Jira에서 잠궈둔 것들입니다. 삭제하려면 시스템적으로 수정하여야하며 Locked 상태로 두어도 괜찮으니 무시하셔도 좋습니다. 그럼 여기선 다소 억지스럽지만 Web Bug 브라우저를 고를 Web Bug Browser Type 필드를 만들어보죠.우측 상단의 Add Cutom Field를 클릭 시 필드 타입을 고를 수 있는 팝업이 생성됩..
Screen: 스크린을 클릭 시 뭔가 더럽게 많은 내용이 뜨는 것을 보실 수 있는데, 일단 스크린이란 말 그대로 화면입니다. 여기서 화면이란 다음처럼 이슈를 생성 시 보여지는 팝업 창 그 자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이 팝업창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뭔가 필드(Summary, Due Date등)가 굉장히 많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스크린은 해당 필드들을 화면에서 숨기거나 보여주고 싶은 필드를 설정하는 등의 설정입니다. 앞서 해왔듯이 우측 상단의 Add Screen버튼을 클릭하여 다음과 같이 새로운 스크린을 하나 추가합니다. 그럼 아무것도 없는 화면이 나오며, 하단의 Select Field를 눌러서 다음처럼 기본적으로 필요한 몇 가지를 설정해줍니다. Screen schemes: Scheme을 추가하기 ..
Workflow: 워크플로우는 앞에서 프로젝트 생성 시 잠깐 보셨을텐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프로세스와 같은 의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현실에서의 결재라인이죠. 아시다시피, 프로세스는 각 업무별로 진행되는 과정이 다릅니다. 기획팀 내부의 일을 처리하는데 개발팀의 프로세스를 탈 필요가 없는 것처럼요. 이에 따라 각 이슈타입별로 다른 워크플로우를 설정할 수 있게되어있습니다. 다음 그림과 같이, 프로젝트를 생성 시 각 프로젝트별로 기본적으로 워크플로우가 따로 생성되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시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워크플로우, 마지막 수정일자, 할당되어있는 scheme, 워크플로우의 단계(상태레벨이 몇 개인지), 워크플로우 수정이 있습니다. View를 눌러보시면 다음과 같이 해당 워크플로..
오늘은 대망의 Issues 메뉴에 대해 기술하도록 하겠습니다. 양이 많아서 여기도 좀 잘라서 써야겠네요. [Jira Administration - Issues]사실 본 문서를 작성하게 된 계기는 이 메뉴를 위함이었으나, 이 또한 먼 길을 돌아온 듯한 느낌이네요...우선 좌측 패널의 메뉴를 보는 순간, 뭐 대략 이런 느낌을 받으실 겁니다. 커스터마이징이 많이 가능하다 = 복잡하다 와 같으니까요. 실제로 좀 사용하다보면 그렇게까지 엄청난 난이도는 아니지만, 처음보는 입장에서는 충분히 멘탈에 데미지를 받을 수 있을 정도의 레벨입니다. 게다가 보통 사내에서 ALM관리자를 따로 뽑아서 하는게 아니라 높으신분들께서 개발하시는 분들에게"업무 하는김에 이것도 같이 좀 해봐라"라는 느낌으로 주는 경우가 많기에 더더욱 그..
오늘은 주말이므로, 간단하게 짤막한 세 종류만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번에 이어 Administration메뉴의 Application부분부터 진행합니다. [Jira Administration - Application]Application을 클릭 시 다음과 같이 좌측에 메뉴들이 보이며. 본 문서의 경우 VM새로 만들기가 귀찮아서 사내 Jira로 진행 중이기에 실제로는 메뉴가 더 적게보일 수 있습니다. Versions & Licenses: 이전 Overview문서에서 잠시 다뤘었던 내용으로, 해당 메뉴에서 Jira 솔루션 설치 및 라이선스관리가 가능합니다. 주로 만료된 라이선스를 교체할 때 사용하며, License Key부분에 새 라이선스를 복사하여 붙여넣는 것으로 간단히 교체가 가능합니다. 관리자가 나태..
그럼 바로 1편에 이어 2편을 진행하겠습니다. [Jira Administration]그럼 Jira Administration메뉴부터 주로 사용되는 기능들을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죠. 시스템관리보다 Issue의 설정 및 사용에 대한 내용이 우선 필요할 경우, 이후에 작성될[Jira Administration - Issues]글로 이동하시면 됩니다. [Jira Administration - System]우선 중요해보이는 System부터 클릭해보죠. 그럼 다음과 같이 한 번에 캡쳐도 안될만큼 휘황찬란한 메뉴가 나옵니다. 모든 메뉴를 설명드리면 좋겠지만, 그렇게하면 이 문서를 다 작성하기전에 힘들어서 포기해버릴 것 같기에 몇 가지 자주 사용하는 메뉴를 한 줄요약 정도로 대체하겠습니다. General configu..
- Total
- 115,479
- Today
- 2
- Yesterday
- 14
- Software Defined Data Center
- SOA
- Portal
- Zabbix
- SDN
- Open Source Consulting
- Athena Spider
- kdump
- pacemaker
- 애자일
- 오픈소스
- Java
- CentOS HA
- 협업
- WebLogic
- 오픈소스컨설팅
- High Availability
- Linux
- jboss
- EAI
- SDDC
- Was
- NFV
- rhel